본문 바로가기
최신정보/정치·경제·정부·정책

전두환 전 대통령 사망

by 니~킥 니~킥 2021. 11. 23.
반응형

안녕하세요 니~킥입니다.

전두환 전 대통령 사망소식을 전해드립니다.

 

전두환 전 대통령은 11월 23일 항년 90세로 사망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전두환 전 대통령은 11월 23일 오전 8시 45분경 서울 서대문구 연희동 자택 화장실에서 쓰러져 숨졌으며 경찰은 오전 9시 12분게 사망 사실을 확인했고, 시신은 곧 신촌센브란스 병원으로 옮겨질 예정이라고 합니다.

 

전두환 전 대통령은 최근 건강 상태가 악화되어 세브란스병원에서 통원 치료를 받아온 것으로 알려졌다고 합니다. 전두환 전 대통령은 지병으로 혈액암의 일종인 '다발성 골수종'을 앓아 왔다고 합니다.

 

한편 지난달인 10월 16일 12·12 군사 쿠데타 동지 관계인 노태우 전 대통령이 별세한 데 이어 한 달도 되지 않아 전 전 대통령도 세상을 떠났다고 합니다.

 

전두환 전 대통령은 1931년 경남 합천에서 태어난 전씨는 1955년 육사 11기로 졸업한 뒤 군내 사조직 '하나회'를 만들면서 군부 내에서 출세 가도를 달렸다고 합니다. 이후 1979년 10월 26일 박정희 대통령 피살 사건 당시 합동수사 본부장이 된 전 씨는 정권 찬탈을 위한 '12·12 군사반란'을 일으켜 정국을 장악했습니다. 이어 박 전 대통령 사망이후 민주화 열망이 들끓었던 1980년 '서울의 봄'을 강경 진압했고, 광주에서 일어난 5·18 민주화운동에는 공수부대를 투입했으며, 최악의 민간인 학살을 저질렀다고 합니다.

그 직후 대한민국 11대 대통령에 오른 전 씨는 집권 기간 학원자율화나 통행금지 폐지 같은 유화책을 내세우며 합법성과 정통성이 결여된 정권에 대한 불만을 무마하려 했고, 특히 저달러, 저유가, 저금리 이른바 '3저 호황'으로 경제가 급성장하는 운이 따르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군사 정권의 한계 속에서 삼청교육대, 언론사 통폐합 등 철권 통치를 이어갔고, 민주화 투쟁에 대해서는 강경 대응을 고수하다 박종철 고문 치사, 이한열 사망 등에 분노한 민심이 1989년 전국적인 '월 항쟁'으로 표출되자 결국 직선제 개헌을 받아들이고 권력에서 물러나야 했다고 합니다.

 

전 씨는 퇴임 후 들끓는 단죄 여론 속에 '5공 청문회'가 열렸고, 전 씨는 재산 헌납을 발표한 뒤 백담사에서 은거했다고 합니다. 이어 1993년 최임한 김영삼 전 대통령은 '역사바로세우기'를 추진하며 전 전 대통령에 대한 사법적 단죄에 나섰고, 결국 5·18과 12·12, 수천 억 원의 비자금 조성 혐의 등으로 1심에서 사형을 선고 받고 대법원에서 무기징역이 확정됐지만 수감 2년 만에 특별사면으로 석방되었다고 합니다.

 

그럼에도 전 씨는 생전 광주민주화운동을 '폭동'으로 규정하고, 유혈 진압의 책임 등에 대해서는 인정하거나 사과하지 않았습니다. 그는 2019년 회고록에서 자신의 기존 입장을 강변하고, 고 조비오 신부의 명예를 훼손한 혐의로 다시 재판정으로 불려 나오기도 했다고 합니다. 얼마 전 사망한 노태우 전 대통령이 생전과 사후 가족을 통해 사과한 것과는 대조적인 모습이었는데, 공교롭게도 전 씨의 사망은 지난달 10월 26일 12·12 군사 쿠데타 동지 관계인 노 전 대통령이 별세한 지 한 달도 되지 않아 시점에 발생한 것입니다.

 

전 씨의 유가족으로는 부인 이순자 씨와 아들 재국·재용·재만 씨, 딸 효선 씨 등이 있다고 합니다.

 

그럼 여기까지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