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최신정보/정치·경제·정부·정책

국민연금 크레딧 제도 3가지(출산·군복무·실업크레딧)

by 니~킥 니~킥 2023. 2. 4.
반응형

안녕하세요 니~킥입니다.

오늘은 국민연금 크레딧 제도 3가지 출산크레딧, 군복무크레딧, 실업크레딧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인기글

털 안 빠지는 강아지 종류 Best 8

안경 도수 보는방법 어렵지 않아요

채소 비타민(다채) 효능과 활용 

성격유형 테스트(MBTI·애니어그램 검사·D.I.S.C 검사·OCEAN 테스트)

만0세~2세 영아관찰척도 (어린이집 영아 관찰 및 평가)

먹태와 황태 차이? (명태&황태&먹태) 그리고, 황태 효능

밥먹고 바로 누우면 안되는 이유 5가지

2023년 최저임금 9,160원으로 5% 오른다.

적은 월급 부담 줄여주는 두루누리 사회보험!(보험료 80% 지원)

국민연금 크레딧 제도 3가지(출산·군복무·실업크레딧)

 

출산으로 인한 경력단절, 군복무, 실업 등으로 국민연금 납부가 어려운 분들이 생길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은 이러한 상황 때문에 가입기간을 채우지 못해 연금 수급의 혜택을 받지 못하는 분들이 생기지 않도록, 각 상황에 맞는 크레딧 제도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둘째 자녀 이상을 얻는 경우 가입기간을 추가로 인정해 주는 '출산크레딧'

사진 = 국민연금공단

출산크레딧이란 2008년 1월 1일 이후에 출산 또는 입양으로 둘재 자녀 이상을 얻을 경우 최장 50개월까지 국민연금 가입기간을 추가로 인정해 주는 제도입니다. 출산을 장려하고 국민연금 사각지대를 축소하는 것을 목적으로 시행되고 있습니다.

 

출산크레딧은 자녀 수에 따라 지원하는 추가 가입기간을 달리하고 있습니다. 자녀 수에 따른 추가 가입기간은 아래의 표를 참고하면 됩니다.

 

  2008. 01. 01 이후에 얻은 자녀수
1인 2인 3인 4인 5인 ...
2007. 12. 31 0인 0 12 30 48 50 50
1인 12 30 48 50 50 50
2인 18 36 50 50 50 50
3인 18 36 50 50 50 50
4인 18 36 50 50 50 50
5인 18 36 50 50 50 50
... 18 36 50 50 50 50

부모 모두 국민연금 가입기간이 있다면, 출산으로 인해 추가되는 가입 기간은 합의를 통해 부모 중 한 사람에게만 추가하거나 부모 모두에게 균등하게 나누어 인정됩니다.

 

다만, 출산크레딧은 출산 후 바로 적용되는 제도가 아닙니다. 국민연금 가입자가 보험료를 10년 이상 납부하고 노령연금을 받을 시기가 되어 연금 지급을 신청할 때, 출산크레딧으로 인한 가입기간을 추가로 인정해 줍니다.

 

6개월 이상 병역의무 이행시 6개월의 가입기간을 추가로 인정해 주는 '군복무크레딧'

사진 = 국민연금공단

2008년 1월 일 이후 입대해 6개월 이상 병역의무를 이행한 분들에게 6개월의 국민연금 가입기간을 추가로 인정해 주는 제도입니다. 가입기간을 추가로 인정하여 노령연금 수급 기회를 확대하거나 노령연금 수령액을 높이기 위해 마련된 제도입니다.

 

군복무크레딧 인정대상은 「병역법」에 따른 현역병, 사회복무요원, 전환복무자, 상근예비역, 국제협력봉사요원, 공익근무요원입니다. 하지만, 복무기간 전부 도는 일부가 공무원연금법 또는 군인연금법 등의 타 공적연금 복무기간에 산입 되는 경우에는 국민연금 가입기간을 추가로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유의해야 합니다.

 

군복무크레딧은 출산크레딧과 마찬가지로 노령연금을 받을 시기가 되어 연금 지급을 신청할 때, 6개월의 기간이 추가로 인정됩니다. 사전 신청할 필요가 없습니다.

 

실업기간동안 보험료 납부의 부담을 줄여주는 '실업크레딧'

사진 = 국민연금공단

실업크레딧이란 만 18세 이상 60세 미만의 '구직급여수급자'가 연금보험료 납부를 희망하는 경우, 생애 최대 12개월까지 국가가 국민연금 보험료의 75%를 지원하고, 그 기간만큼 국민연금 가입 기간을 추가로 인정해 주는 제도입니다.

 

지원 대상은 구직급여를 받는 사람 중 국민연금 보험료를 1개월 이상 납부한 가입자 또는 가입자였던 사람이 재산 및 소득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입니다. 저소득층에 대한 실질적 지원을 이해 재산 및 소득 기준을 두고 있습니다.

 

※ 재산 및 소득 제한기준(2022년 고시 기준)

재산기준 재산세 과세표준의 합이 6억 원 초과
소득기준 연간 종합소득(사업소득 및 근로소득 제외)이 1,680만 원 초과

이때, 연금보험료는 '인정소득'을 기준으로 산정됩니다. 인정소득은 실직 직전 받았던 3개월간 평균소득의 50%에 해당하는 금액으로, 최대 70만 원을 초과할 수 없습니다.

 

※ 연금보험료 산정 예시

A. 실직 전 3개월간 평균 급여가 100만 원이었다면?

인정소득 500,000원(100만 원의 50%)

보험료율 9% = 45,000원

 

B. 실직 전 3개월간 평균 급여가 200만 원 이었다면?

인정소득 700,000원(200만 원의 50%가 70만 원을 초과하여 70만 원으로 산정)

보험료율 9% = 63,000원

 

※ 실업크레딧 지원 후, 가입자가 실제 부담할 보험료

A. 연금보험료 45,000원

25% = 11,250원

75%에 해당하는 33,750원은 국가에서 지원합니다.

 

B. 연금보험료 63,000원

25% = 15,750원

75%에 해당하는 47,250원은 국가에서 지원합니다.

 

실업크레딧은 구직급여 신청 시 고용노동부 고용센터에서 신청 가능하며, 구직급여를 받고 있다면 종료일이 속하는 달의 다음 달 15일까지 국민연금공단 지사를 통해 신청하면 됩니다.

 

자료 = 국민연금공단

 

 

 

 

 

 

그럼 여기까지 국민연금 크레딧 제도 3가지를 살펴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